추진 배경 및 과정
추진요인 | 세 부 내 용 |
---|---|
경험적 배경 | 2018 평창동계올림픽 추진을 통한 인프라 개선 |
올림픽 유산활용 | 올림픽 파크 내 경기장 시설의 장기적 재생 및 활용방안 강구 |
도시적 성격 | 관광도시로써의 성수기 교통체증 해결책 필요 |
교통인프라 | 1세대 교통신호 시스템 등 교통시스템 낙후 → 첨단 교통인프라 전환 기대 |
환경적 요인 | 풍부한 문화적 관광적 자원으로 행사 개최지로의 장점 보유 |
미래성장성 | 자율주행, 스마트도시의 연관성으로 도시의 미래 경쟁력 확보 가능 |
MICE 육성 | 관광도시의 특성을 살려 MICE 산업 육성 필요 |
COVID-19 팬데믹으로 대외홍보가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서 강릉의 상대적 약점인 도시 인지도를 높이는 해외홍보 활동이 무엇보다 필요한 상황. 특히, 대한민국은 공무출장 격리 면제 프로그램 및 해외 현지 대사관을 활용한 對 ITS BOD(Board of Director: ITS 세계총회 이사로 총회개최지 평가위원의 권한을 가짐) 대상 방문활동을 추진함으로써 수교국 이 적은 대만에 비해 코로나 상황에서 큰 힘을 발휘함
제안서(Bid File)는 도시소개자료 및 32개 평가항목으로 구분. 강릉시는 제안발표의 특성상 짧은 시간에 도시의 특성과 항목별 강점을 인지하도록 핵심 키워드 및 사진위주로 구성하는 전략을 구사함. 고급스러운 책자로 제작하되 양면이 한 항목을 설명하는 형태로 하여 직관적이며 사진의 특성을 최대한 부각시키는 페이지 구성과 디자인을 취함
현장발표에서는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10분 도시소개와 32개 항목은 구두 1분발표로 제한되어 면밀한 전략이 필요한 상황임. 우선 도시소개는 3명의 프리젠터가 허용되는 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강릉시장 강릉시 소개, 국토교통부 도로국장의 대한민국의 ITS 정책설명, 국토교통부 장관 지지 영상, 나승연 대표의 맺음말 및 질의응답 대응으로 순서를 구성하고 역할분담을 실시하여 심사위원에게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과 강릉시의 의지를 자연스럽게 강조함. 32개 항목은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의 핵심 프리젠터인 나승연 대표가 전담하여 언어, 전달력, 질의응답에서 경쟁적 우위를 점할 수 있었음
아 · 태지역 9개 국가의 평가위원들이 후보도시의 시설, 지원계획, ITS 기술 등 총 32개 평가항목에 대해 평가